문제설명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
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
-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
-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
-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
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-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-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.
-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.
입출력 예
입출력 예 설명
[1, 5, 2, 6, 3, 7, 4]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2, 3, 5, 6]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6]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. [1, 2, 3, 4, 5, 6, 7]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.
풀이 방식
이 문제는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는 문제 입니다.
이 문제를 보고 저는 Arrays.copyOfRange()함수를 떠올렸습니다.
Arrays.copyOfRange() 메서드는 주어진 배열의 일부분을 새로운 배열로 복사하는 데 사용되는 함수입니다.
이 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.
public static int[] copyOfRange(int[] original, int from, int to)
- original: 복사할 원본 배열
- from: 복사할 부분 배열의 시작 인덱스 (포함)
- to: 복사할 부분 배열의 끝 인덱스 (제외)
from 인덱스는 복사할 범위에 포함되지만, to 인덱스는 복사할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즉, [from, to] 범위의 요소가 복사됩니다.
copyOfRange() 메서드는 원본 배열의 특정 범위를 새로운 배열로 복사하므로, 원본 배열과 복사된 배열은 독립적인 배열이 됩니다. 따라서 원본 배열을 수정해도 복사된 배열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!
그럼 이제 이 메소드를 활용해서 이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int[] answer = new int[commands.length];
answer를 commands의 길이만큼 배열을 선언해줍니다.
for (int i = 0; i < commands.length; i++)
i가 0부터 commands의 길이까지 반복되도록 만들어줍니다.
int[] result = Arrays.copyOfRange(array, commands[i][0] - 1, commands[i][1]);
해당 코드는 array 배열에서 commands[i][0] - 1 인덱스부터 commands[i][1] 인덱스까지의 범위에 해당하는 일부 배열을 result 배열로 복사하는 부분입니다.
여기서 commands[i][0] - 1은 현재 반복하는 commands 배열의 i번째 행에서 첫 번째 요소의 인덱스를 나타냅니다. commands[i][1]은 해당 행의 두 번째 요소의 인덱스를 나타냅니다. -1을 수행하여 배열의 인덱스로 변환합니다.
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 -1을 하여 실제 인덱스로 변환합니다.
Arrays.copyOfRange() 메서드를 사용하여 array 배열에서 commands[i][0] - 1부터 commands[i][1]까지의 범위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복사하여 새로운 배열인 result 배열을 생성합니다.
예를 들어, array 배열이 {1, 2, 3, 4, 5}이고, commands[i][0]이 2이고 commands[i][1]이 4라고 가정하면, result 배열은 array 배열의 인덱스 1부터 3까지의 요소를 복사하여 생성됩니다. 따라서 result 배열은 {2, 3, 4}로 초기화됩니다.
Arrays.sort(result);
오름 차순을 하기 위해 Arrays.sort() 메서드를 사용합니다.
answer[i] = result[commands[i][2] - 1];
해당 코드는 result 배열에서 commands[i][2] - 1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여 answer 배열의 현재 인덱스에 저장하는 부분입니다.
여기서 commands[i][2] - 1은 현재 반복하는 commands 배열의 i번째 행에서 세 번째 요소의 인덱스를 나타냅니다. commands[i][2]는 해당 행의 세 번째 요소의 값을 의미하며, -1을 수행하여 인덱스로 변환합니다.
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 -1을 하여 실제 인덱스로 변환합니다.
그리고 추출한 값을 answer 배열의 현재 인덱스 i에 저장합니다. 이를 통해 각 행에서 추출한 값들을 순서대로 answer 배열에 저장하게 됩니다.
소스코드&결과
코드
import java.util.Arrays;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ay, int[][] commands) {
int[] answer = new int[commands.length];
for (int i = 0; i < commands.length; i++) {
int[] result = Arrays.copyOfRange(array, commands[i][0] - 1, commands[i][1]);
Arrays.sort(result);
answer[i] = result[commands[i][2] - 1];
}
return answer;
}
}
결과
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나 잘못된 설명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!!
'Coding Test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두 개 뽑아서 더하기 (3) | 2023.06.05 |
---|---|
[JAVA] 콜라 문제 (4) | 2023.06.05 |
[JAVA] 푸드 파이트 대회 (0) | 2023.06.02 |
[JAVA]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(4) | 2023.05.24 |
[JAVA]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(0) | 2023.05.24 |